경의 쾌속선

최근 수정 시각: ()
파일:DH-KO.png
경의 쾌속선
京義 快速線
Gyeongui Line Rapid Service

노선 정보
분류
운행계통(경의본선)
기점
종점
역 수
17
노선기호
KO
개업일
1905년 11월 5일[1]
소유자
파일:동해철도.png파일:동해철도_White.png
동해철도
운영자
운용차량
차량기지
서울차량관리단 문산차량소
서울차량관리단 개성차량소
노선 제원
노선연장
90.5km
궤간
1,435mm
선로구성
복선
급전방식
신호방식
ATS-P
최고속도
120km/h[2]
1. 개요2. 운행 환경3. 역 목록

1. 개요 [편집]

2014년 경의선 수도권지구[3]와 중앙 완행선을 하나의 노선으로 직결운행하면서 탄생한 수도권 전철 운행 계통이다. 노선색은 빨간색이었으나, 동해철도에서 노선을 개편하면서 파란색으로 변경되었다. 동국철도 해산 이후 동해철도에서 경의선 본선 구간을 쾌속전용화하면서 발족된 운행계통이다.

2. 운행 환경 [편집]

3. 역 목록 [편집]

경의 쾌속선
역번
역명
환승노선
소재지
↑직결운행
파일:NS-GM.png 경부본선 경유 파일:NS-JM.png 장항 쾌속선 대천까지 직통
KO01
0.0
KO02
3.1
신 촌
新 村
KO03
5.8
가 좌
加 佐
KO04
7.5
KO05
14.9
행 신
幸 信
KO06
18.2
고 양
高 陽
KO07
21.5
백 마
白 馬
KO08
25.1
일 산
一 山
KO09
26.8
탄 현
炭 峴
KO10
28.9
야 당
野 塘
KO11
30.4
운 정
雲 井
KO12
35.6
금 촌
金 村
KO13
46.3
문 산
文 山
KO14
58.0
장 단
長 湍
KO15
73.6
개 성
開 城
KO16
82.7
개 풍
開 豐
KO17
90.5
여 현
礪 峴
[1] 운행계통 발족일은 2024년 12월 5일[2] 열차 스팩상 160km/h까지 가능하고, 선로 역시 150km/h까지 증속 가능하나, 운정동탄라인의 영향으로 선로 개량을 하지 않고 있다.[3] 용산선 전구간 개통과 경의·중앙 완행선 운행개시 이후 기존 경의선 본선에는 별도의 경의선 열차가 운행하였으나, 동해철도에서 경의선을 개편하면서 쾌속열차만 운행하게 되었다.

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-NC-SA 2.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,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.

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,
실제 기업이나 인물,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.